본문 바로가기

CS/자료구조 & 알고리즘

(2)
서로소 집합 : Disjoint Set(Union-Find) 개념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, Disjoint Set, Union-Find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. 서로소는 공통으로 포함하는 원소가 없는 두 집합의 관계다. 즉, Disjoint Set은 공통되는 원소를 처리하기 위한 자료구조라 할 수 있다. Disjoint Set은 Union, Find라는 두가지 연산을 가진다. Union : 원소를 하나의 집합으로 합친다. Find : 원소가 속한 집합이 어떤 집합인지 찾는다. 동작과정 조건 원소의 갯수가 1~6이 있고 아래와 같이 원소를 합친다. 처리할 연산 → (1, 2), (2, 3), (3, 4), (5, 6) 구현 원소의 갯수만큼 배열을 만들고 해당 배열은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각각의 집합으로 초기화한다. union 메서드 public void union(in..
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(Big-O) 컴퓨터과학에서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는 입력을 나타내는 문자열 길이의 함수로서 작동하는 알고리즘을 취해 시간을 정량화하는 것이다.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는 주로 빅-오 표기법을 사용하여 나타내며, 이 빅-오 표기법은 계수와 낮은 차수의 항을 제외시키는 방법이다. - wiki 알고리즘의 성능 계산 알고리즘의 성능을 계산하는 것에 있어 단순히 아웃풋이 나오는 결과의 시간 을 측정하는 것은 모든 경우에 적용되지 못한다. 이유는 해당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환경이 모두 상이하여 같은 성능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. 따라서 알고리즘을 측정하는 객관적인 단위는 실행되는 단계(step)을 기준으로 한다. 단계는 메모리 기본연산(대입, 복사, 산술연산 등)이다. 기본연산은 1단위 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이..